반응형

2016년 국내 중형 세단 시장에 르노삼성은 역대 최고 판매실적을 기록하며 올해 가장 안전한 차 1위라는 타이틀까지 받은 상태이다. 그러나 최근 르노삼성 SM6 결함에 대한 이야기가 많이 나오고 있다. 자동차 온라인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SM6 결함 정보가 쏙쏙 올라오고 있는데, 현재까지 나오고 있는 르노삼성 SM6 결함 정보에 대해서 알아볼까 한다.



1. 르노삼성 배터리 방전

SM6 신차를 구입한 차주는 하루도 지나지 않아서 배터리가 방전되어 시동이 걸리지 않은 결함이 발생을 했다. 이에 차주는 르노삼성에 신차 교체 및 계약 취소를 요구했다. 그러나 르노삼성 측은 무상수리만 해줄 수 있고 신차교체나 환불은 힘들다는 입장을 내세웠다.



배터리 방전의 원인은 시동이 꺼진 상태에서도 내비게이션, 오디오, 공조장치, 차량 주행 관련 기능을 통제하는 디스플레이가 꺼지지 않고 작동했기 때문이라고 한다. 르노삼성은 이를 인정하고 배터리와 에이링크 메인보드를 교체한다며 무상수리와 보상차원에서 20만원 상품권을 제공하겠다고 제시했다.



2. 주행중 시동꺼짐

2016년 8월 Sm6 2.0 LPe 모델이 주행중에서 시동꺼짐과 브레이크가 작동되지 않은 현상이 발견이 되었다. 르노삼성은 당시 초기 결함이 아니라는 입장을 되풀이 했지만, 블랙박스 영상과 경험담이 계속 나왔고, 국토교통부 자동차 리콜센터에서 결함판정을 내린 후 SM6 2.0LPe 모델을 전량 리콜했다.



3. 부동액 줄어듬 현상

부동액은 보통 2년 또는 4만km 주기로 교환을 한다. 그런데 SM6 신차 구입 차주는 1만 km 가량 주행한 후에는 최저선까지 떨어져 결함이 의심된다고 주장을 했다. 지난 4월에 차량을 인도받아 1만km 주행한 후 부동액을 확인해보니 부동액이 거의 안보일 정도까지 떨어졌다고 한다. 이에 르노삼성 공업사는 부동액에 물이 섞여 있어서 증발하는 것은 당연하다며 1~2년마다 보충해서 타야 한다고 진단을 했다.



4. 주행중 오토스톱&스타트 점검불

르노삼성 SM6 dci 차주는 주행 중에 갑자기 엔진제어장치와 오토스토&스타트 점검불이 동시에 들어오면서 60km 이상 속도가 나지 않았다고 한다. 신호대기할 때 시동이 꺼진 상태에서 브레이크에서 발을 떼면 시동이 걸리지 않는다고 주장을 했다. 그리고 출고 한 달째 시동을 끄면 시트가 자동으로 뒤로 밀려가는 기능이 먹통이 되었다고 한다. 이는 ECU 불량 판정으로 문제가 세번 생기면 신차로 교환을 해준다는 안내를 받았다고 한다.



이처럼 르노삼성 SM6는 높은 판매고를 기록하며 돌풍을 일으켰지만 다양한 결함으로 소비자들의 불만을 초래하고 있다. 많은 차량을 판매한만큼 차량의 불량이 있을 수도 있다. 그러나 안전에 치명적인 결함은 반드시 수리되어야 하며, 리콜 또는 신차로 교환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을 한다. 르노삼성에서 SM6의 결함 정보를 이해하고 결함이 있는 부분에 대해서 인정하고 이에 따른 대처를 세워주어야 하지 않나 생각을 해본다.



르노삼성 SM6는 2016년 올해의 안전한 차 순위에서 1위를 기록하는 등 높은 안전도를 자랑하고 있다. 그러나 잇단 품질 결함 논란이 일어나면서 르노삼성 SM6에 대한 이미지에 치명적인 상처를 입게 된 것 같다.



르노삼성 SM6 가격

SM6 가격은 디젤 기준 1.5dCi 모델은 25,750,000원 ~ 29,500,000원 사이이다. 가솔린 기준 1.6Tce 모델은 28,050,000원 ~ 32,500,000원 사이앋. 가솔린 2.0 Gde 모델은 24,200,000원 ~ 29,950,000원 사이이다. SM6 가격은 2,420만원 ~ 3,250만원 사이라고 생각을 하면 될 것 같다.


SM6 유류비는 1년 유지비로 운행거리 1만 5천 기준 150만원 ~ 170만원 사이의 유류비가 들 것으로 예상이 되고 있다.



아무튼, SM6는 2016년 가장 큰 돌풍을 일으킨 중형 세단이라고 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SM6 결함에 대해서 이야기가 나올 때마다 소비자들은 더 크게 반응을 하는 것 같다. SM6는 디자인이나 가격, 연비 등에서 소비자들은 큰 만족감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결함에 대한 안일한 대처와 잦은 결함이 소비자들을 실망시키고 있는 것 같다. 

SM6가 이번 일을 계기로 더욱 성장하길 바라며, 좀 더 소비자를 위한 자동차 회사가 되기를 기대해본다.


반응형
반응형

최근 르노삼성의 인기가 대단한 것 같다. 지난해 소형 스포츠유틸리티 차량인 SUV QM3의 성공으로 주목을 받고 SM6의 돌풍 그리고 발매전인 QM6에 대한 관심도 상당한 것 같다. QM3 -> SM6 -> QM6 순으로 연이은 관심으로 성공의 밑거름을 만들고 있는 것 같다.



SM6 돌풍

2016년 초에 출시한 SM6는 유럽에서 르노 탈리스만으로 불린다. 국내에서는 SM시리즈로 꾸준히 발매가 되었기 때문에 SM6라는 이름을 달고 나왔다.



그런데 르노 탈리스만은 2016 콘셉트 전시회 전야제에서 <올해의 가장 아름다운 차> 부문에 선정이 되었다. 재규어 F-페이스를 15% 격차로 따돌리며 올해 가장 아름다운 차에 선정되었다는 것만으로도 상당히 의미가 깊지 않나 생각해본다.



SM6의 돌풍으로 르노삼성은 2010년 이후 6년만에 3월 내수 판매 1만 대를 돌파하는 경사를 맞았다고 한다. 이런 높은 인기 덕분에 올 4월에는 부품 수급에 어려움을 겪는 등 출고가 이를 따라가지 못하는 현상을 빚기도 했을 정도이다.



SM6의 돌풍이 의미가 깊은 이유는 제작 초기부터 한국 디자인센터가 주도를 해 제작이 되었다는 것이다. 한국 디자인센터에서 만든 차량이 <올해의 가장 아름다운 차>에 선정이 되었다는 것 자체만으로 이제 한국 디자인도 세계에서 통한다는 것을 증명했다. 이 때문에 르노본사에서 르노삼성을 보고 배우라는 얘기가 많아졌다는 후문도 있다.



르노삼성 SM6 가격

SM6의 돌풍의 또 다른 이유 중의 하나가 바로 가격대라고도 할 수 있다. 제원이나 디자인은 크게 발전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가격대는 크게 오르지 않았기 때문이다. 르노삼성 SM6 가격대는 2,376 ~ 3,190만원이다. 다른 차량에 비해서 가격이 크게 비싸다는 생각이 들지 않기 때문에 SM6에서 고급트림이 가장 많이 판매가 되고 있는 것 같다. 기왕이면 편의성을 위해서 옵션이 좋은 차량을 선택하려 하기 때문이다.



SM6 제원

차체의 크기는 SM5와 큰 차이가 없다. 조금 커지기는 했지만, 실내의 경우 더 넓어졌다는 후문이 많다.


SM6 연비는 12.8km/l이며 최고출력 190마력에 7단 변속기를 장착했다. 그리고 무엇보다 SM6의 디자인이 상당히 고급스럽고 품격이 느껴진다는 것이 큰 무기가 되고 있는 것 같다.



SM6는 소비자들에게 현대차의 그랜져나 기아차의 K7과 동급 차량으로 인식이 되고 있다. 그러나 가격대는 이들 차량에 비해서 훨씬 경쟁력이 있으며, SM6만의 퍼포먼스와 르노가 만들어 외제차라는 인식도 있는 것 같다. 그리고 국내 자동차 브랜드의 경우 국내에서는 비싸게 팔고, 해외에서는 저렴하게 판매되고 있는 경우가 많은데, 르노삼성의 SM6는 유럽에서 판매되고 있는 르노 탈리스만에 비해서 약 1천만원 정도 더 저렴하게 책정되어 판매되고 있다는 것이 상당히 고무적이라고 할 수 있다.



SM6의 제원이나 디자인, 가격만 본다면 르노삼성이 SM5를 처음 발매했을 때의 인기를 얻기 위해서 독기를 단단히 품고 등장을 했다는 생각이 든다.



SM6의 돌풍은 당연한 것이며, 앞으로 그 인기와 화제성은 QM6가 출시될 때까지 계속될 것 같다. 르노삼성의 경우 SM6에서 QM6로 자연스럽게 화제를 전환시키려고 하는 것 같은데, 그 전략이 성공할 수 있을지 지켜봐야 할 것 같다.

반응형

+ Recent posts